어느 날 뉴스 속보가 전 세계를 강타합니다.
"국제 금 시세, 사상 처음으로 트로이 온스당 128,000달러 돌파!" 미국 달러는 폭락했고, 글로벌 금융시장은 패닉에 빠졌습니다. 현금보다 금이 더 안전하다는 믿음이 전 세계를 뒤덮었고, 각국 정부는 금을 사들이느라 안간힘을 씁니다.
이 장면은 허구일까요, 아니면 우리 앞에 다가올 현실일까요? 최근 발표된 'The $100K Gold Ounce: How a Gold-Backed Dollar Could Have Reshaped U.S.'라는 경제 시뮬레이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의 누적 부채와 금 보유량을 바탕으로 계산할 때 금값이 온스당 10만 달러 이상이 되어야 달러를 완전히 뒷받침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 극단적 가정은, 현대 통화 시스템이 금본위제로 되돌아간다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결과를 제시합니다.
이 글에서는 금값 전망, 금본위제 복귀, 달러 시스템의 신뢰 위기, 초인플레이션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이 시나리오가 왜 가능성이 있는지, 그리고 실제 발생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를 다각도에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왜 금값이 128,000달러가 될 수도 있는가?
2024년 10월에 발표된 이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두고 계산을 했습니다:
- 미국의 총 부채: 약 33.5조 달러
- 미국의 공식 금 보유량: 약 8,133.5톤 (≒ 2.6억 트로이 온스)
만약 미국이 발행한 모든 통화를 금으로 완전히 보증하려 한다면, 단순 계산으로도 금 1온스의 가치는 128,000달러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 극단적 가정은, 금본위제 체제로 회귀할 경우 미국 경제가 직면하게 될 구조적 한계와 부채 위기를 숫자로 드러낸 것입니다. 현재(25년4월말) 금 시세가 트로이 온스당 약 3,320달러임을 고려하면, 128,000달러는 약 40배의 상승이 필요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시나리오에서 금을 보유하지 않은 개인·기관·국가가 실질적으로 자산의 상당 부분을 잃게 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금이 '새로운 기준 가치'로 재정의되는 순간, 금을 보유한 이들은 자산 재평가를 통해 상대적 이익을 얻지만, 금이 없는 주체들은 그동안 축적한 자산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폭락하게 되며 사실상 자산의 증발과 같은 결과를 맞이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예를 들어, 1돈(3.75g) 기준으로 환산하면 현재 시세로는 약 60만 원이지만, 온스당 금값이 128,000달러가 될 경우 이 1돈의 가치는 약 2,400만 원 수준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현재 준중형 승용차에 해당하며, 장신구 수준의 가치가 급등하는 수준으로 변화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은퇴를 앞둔 중산층 가정이 보관하고 있는 1돈짜리 금반지 5개(총 18.75g)의 경우, 현재 약 300만 원 수준의 가치에서 1억2천만원 이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금을 보유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자산 격차는 극단적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자산 재편과 부의 흐름이 근본적으로 재정의되는 순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이는 가격 상승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 자산구조의 판이 다시 짜이는 '질서 재편의 시작점'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현실이 된다면, 금값의 상승은 자산 가격 상승을 넘어 세계 통화 질서의 재편과 연결됩니다. 아래에서는 그로 인해 벌어질 수 있는 경제적 충격을 3가지 시나리오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2. 시나리오별 세계경제 충격 예측
📉 시나리오 1: 금융 시스템 붕괴 + 초인플레이션 발생
- 미국 달러 가치 붕괴 → 신뢰 위기 → 금값 폭등
- 현금, 예금 자산의 실질 가치 급락
- 실물 자산(금, 은, 식량, 부동산) 중심의 자산 이동
- 국제 통화 질서 재편: 금 기반 디지털 통화 등장
이 시나리오는 사실상 기존 세계 경제 질서의 붕괴와 강제적 리셋 상황에 가까우며, 금은 '최후의 화폐'로 인식되어 극단적 수요가 몰리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각국 정부가 금 보유와 거래에 대해 강력한 통제를 시도할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과거에도 유사한 사례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1933년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의 행정명령 6102호로, 이는 국민의 금 보유를 금지하고 연방정부에 강제 매각하도록 한 조치였습니다. 이 명령은 대공황 시기 미국의 금 유출을 막고 금본위제를 유지하기 위한 긴급 경제 안정 정책이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최대 10년의 징역형 또는 10,000달러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는 법적 근거가 명시돼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닐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대외무역법」 제19조(수출입의 제한) 및 「외국환거래법」 제5조(기본 원칙)와 제7조(보고·등록 등)를 근거로, 긴급 시 금의 수출입 또는 개인 간 거래를 제한하거나 중앙정부가 일정 수준의 통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존재합니다. 실제로 과거 외환위기 시기에도 정부는 외환거래 및 금 수출에 대해 제한 조치를 취한 바 있으며, 1970~80년대 금 수출입은 정부 허가제로 운영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만약 글로벌 금융 위기나 초인플레이션 상황이 심화된다면, 한국 정부 또한 전략 비축자산 확보 및 시장 안정화를 이유로 금 거래를 일부 제한하거나 특정 보유량 이상을 등록·신고 대상으로 지정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합니다. 이는 곧 한국의 개인이나 기업도 금 보유에 있어 정치적·법적 리스크를 고려해야 할 시대가 도래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극단적 인플레이션이나 통화 체계의 붕괴 상황이 벌어질 경우 각국은 금의 사적 축적을 제한하고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려는 유혹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는 곧 개인이 보유한 실물 금이 정부의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금 보유자 입장에서는 단순한 가치 상승 이상의 정치적·법적 리스크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수입니다.

⚠️ 시나리오 2: 통화신뢰 붕괴 + 금본위제 도입 시도
- 미국이 부분적 금본위제를 도입하려 시도
-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유연성 상실 → 경제위기 심화
- 정부 재정적자 억제, 경기부양 불가
- 투자자들: 금, 은, 실물 자산으로 회피성 자금 이동
이 시나리오는 통화의 신뢰는 유지되지만, 달러와 금의 가치 격차로 인해 금이 글로벌 기준 자산으로 자리 잡는 과정입니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이 단지 자산 선호의 변화 차원을 넘어서, 새로운 국제 회계 단위나 무역결제 기준 자산으로 금이 부상하는 현상이라고 분석합니다.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액 내 금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국제금위원회(WGC)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24년 사이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설문에 응답한 중앙은행의 약 68%가 향후 12개월 내 금 보유를 늘릴 계획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금이 인플레이션 헤지나 투자자산이 아닌, '신뢰 가능한 최종 가치 저장수단'이자 '지정학적 리스크 헷지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방증합니다.
결국 이 시나리오는 금이 실물경제 및 금융체계 전반에 걸쳐 다시 핵심 자산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달러 중심의 국제금융시스템에 대한 장기적 대체 흐름이 가시화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시나리오 3: 완만한 금값 상승 + 디지털 전환과 공존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확산, 통화공급 제한 신호
- 금은 '디지털 금고' 역할로 수요 증가
- 금 ETF, 금 토큰,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 등 확산
- 각국 정부는 금 보유 확대를 지속하며 '위기 대비 자산' 확보
이 시나리오는 극단적 붕괴 없이 진행되며, 금은 포트폴리오 헤지 수단이자 디지털 자산과 공존하는 가치 저장수단으로 자리를 잡게 됩니다. 실제로 이러한 흐름은 현재도 진행 중이며, 전문가들은 이를 '현대 통화 질서 속 금의 재포지셔닝'이라고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금 기반 디지털 자산(예: 금 토큰, 금 ETF 등)은 투자자뿐만 아니라 중앙은행과 대형 기관의 포트폴리오 내 핵심 구성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 전환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특히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갈등, 글로벌 부채 증가 등 복합적인 위기 요인 속에서 금은 유동성과 디지털 결제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자산 클래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향후 디지털화폐(CBDC)와 금 기반 시스템이 병렬적으로 운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며, 이에 따라 금은 '고전적 자산'을 넘어서 정책 리스크를 헤지 할 수 있는 실질적 통화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3. 실제 금값 상승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① 원화 약세 압력 증가 → 금값이 오르면 글로벌 자산시장에서 원화의 상대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② 수입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 상승 → 수입물가가 오르면서 국내 제조업체와 소비자 모두 부담 증가
③ 금 관련 자산 수익률 상승 → 금 관련 ETF, 금 통장, 실물 금 투자 수요 증가
④ 한국은행의 외환보유 다변화 → 달러 중심에서 금 비중을 높이는 전략 강화 가능성
⑤ 자산 재편 가속화 → 예금보다 실물자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금 = 위기 대비 자산'으로 인식 확대
4. 개인의 대응 전략: 금을 어떻게 다뤄야 하나?
전략 | 설명 |
---|---|
금 ETF | 실물 보관 필요 없고, 소액으로 분산 투자 가능 |
금 통장 | 은행 연계 상품, 실물 인출은 여러 조건들이 붙지만(수수료,부가세,이자소득세등) 투자 편리 |
실물 금 | 위기 상황에서 가장 강력한 가치 저장 수단이나, 도난·세금 이슈 존재 |
금 관련 주식 | 금 채굴 기업 등 간접 노출 방식으로 리스크 분산 |
또한 위안화, 유로화, 원자재 통화 등에 대한 분산도 함께 고려해야 하며, 가상자산 시장과 금 시장 간의 관계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5. 숫자가 아닌 '신호'로서의 금값
온스당 금값이 128,000달러가 된다는 건 자산가격 상승이 아니라 통화시스템에 대한 신뢰 붕괴를 상징하는 사건입니다.
현재의 부채 기반 경제 시스템, 그리고 끝없이 발행되는 통화에 대해 경고를 보내는 시그널일 수 있습니다. 금값이 오르는 것은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으며,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균형 있는 자산 구성, 리스크 관리, 통화 시스템에 대한 이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