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폭탄 104%… 중국의 다음 보복카드?(희토류,기술,금융)
2025년 4월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전국 공화당 행사에서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기존 34%에서 무려 84%로 인상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로써 지난 2월 펜타닐 유출 문제로 부과된 20% 관세까지 합산되며 중국에 부과되는 총 관세는 104%에 달하게 되었고, '관세 폭탄'이라는 표현이 현실이 되었다. 백악관은 일본과 한국과 같은 우방국엔 협상의 여지를 두고 있으나, 중국에 대해선 강경책을 고수하겠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던졌다. 이에 대한 중국의 즉각적인 반응은 치밀하고 다차원적이다. 단순히 관세 맞불 차원을 넘어서, 희토류 통제, 기술 봉쇄, 환율 조작, 금융 압박, 외교적 고립화 등 다양한 형태의 전략적 대응이 뒤따를 것으로 예측된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2025. 4. 9.
트럼프와의 통화(통화배경,대응전략,협상카드)
통화배경2025년 4월 8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약 28분간 전화 통화를 진행했다. 이는 트럼프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후 한미 고위급 간의 첫 직접 소통으로, 의례적 인사 이상의 전략적 메시지가 담긴 대화로 평가된다. 통화 직후 트럼프는 소셜미디어에 "한국 측의 대표단이 미국에 도착 중이며 상황은 긍정적이다"는 취지의 발언을 올려, 한미 간 주요 현안들을 묶어 논의하는 협상이 본격화될 것임을 암시했다. 통화 내용에는 무역 적자 문제, LNG 수입 확대, 방위비 분담금, 조선업 협력, 관세 문제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는 트럼프 특유의 연계협상(Linkage Politics)의 전형적인 예시로 해석된다.트럼프는 통화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조..
2025. 4. 9.